한글 입력 안됨 영어만 나올 때 해결방법

한글입력 안될때 해결방법
한글입력 안될때 해결방법

요약

컴퓨터를 켰는데 갑자기 한글이 입력되지 않고 영어만 입력되는 경험, 누구나 한 번쯤 겪어봤을 겁니다.
특히 Alt + Shift한/영 키가 먹히지 않을 때 정말 답답하죠.
이 글에서는 윈도우에서 한글 입력이 안 되는 이유와 해결 방법을 단계별로 알려드립니다.

목차

 

한글이 안 써지는 가장 흔한 원인

  • Alt + Shift, 한/영 키가 먹히지 않음
  • 입력기가 영어로 고정되었거나 충돌 발생
  • 설정에서 한국어가 제거되었거나 입력기(IMES) 비정상 작동
  • 특정 프로그램(원격 데스크톱, 게임 등)과의 충돌

 

해결 방법 1: 언어 전환 단축키 확인

먼저 [Alt] + [Shift] 또는 [한/영] 키를 눌러보세요.
이 기본 단축키로 입력 언어가 전환되지 않으면 다음을 확인해야 합니다:

  1. 설정 → 시간 및 언어 → 언어 및 지역
  2. [한국어]가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
  3. [키보드 옵션] → [입력 언어 전환] 단축키 확인
  4. 기본 입력 언어가 Microsoft 입력기로 되어 있는지 확인

Win + Space를 눌러 언어 전환 상태를 빠르게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해결 방법 2: 한국어 입력기 제거 후 다시 추가

입력기가 깨졌거나 비정상 작동할 경우에는 입력 언어를 제거했다가 다시 추가하는 것이 가장 확실합니다.

  1. 설정 → 시간 및 언어 → 언어 및 지역
  2. 한국어 선택 → 제거
  3. 다시 ‘언어 추가’ → 한국어 선택
  4. Microsoft 입력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

입력기 재설정 후에는 반드시 컴퓨터를 재시작하세요.

 

해결 방법 3: IME 입력기 강제 재시작

IME(Input Method Editor)가 비정상 작동할 때는 강제 재시작이 필요합니다.

  1. 작업 관리자 실행 (Ctrl + Shift + Esc)
  2. ‘세부 정보’ 탭으로 이동
  3. ctfmon.exe 또는 TextInputHost.exe 찾아서 선택 → [작업 끝내기]
  4. 다시 시작하거나 아래 명령어로 수동 실행
실행 창 (Win + R) → ctfmon.exe 입력 → Enter

IME는 윈도우 입력기의 핵심 구성 요소로, 이 과정만으로도 문제가 해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Q&A)

Q1. 외장 키보드를 쓰는데 한글만 안 나와요.
A1. 외장 키보드 설정이나 드라이버 문제일 수 있습니다. 입력기 전환 단축키가 키보드에 없을 수도 있습니다.

 

Q2. 한글이 안 나오는데 영어는 잘 쳐져요.
A2. 언어 설정에 한국어는 있는데 입력기만 비활성화된 상태일 수 있습니다.

 

Q3. 리모트 데스크톱(원격 접속)에서 한글이 안 쳐져요.
A3. 원격 환경에서는 로컬 키보드 레이아웃과 충돌이 생깁니다. 리모트 입력기 동기화를 확인하세요.

 

Q4. 재부팅해도 계속 한글이 안 쳐져요.
A4. 레지스트리 손상, IME 비정상, 다국어 설정 꼬임 등이 원인일 수 있으며, 위 3단계 모두 실행해 보세요.

마무리하며

한글 입력이 안 될 때는 당황하기 쉽지만, 대부분은 간단한 설정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입력기 재설정, 단축키 확인, IME 재시작만으로도 대부분의 문제가 해결됩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로 경험을 공유해 주세요!

 

한글입력 안됨, 윈도우 한글 오류, 키보드 한글 안됨, Alt Shift 안됨, 윈도우 입력기 오류, 한글 키보드 문제, IME 재시작, 텍스트 입력 문제, 윈도우 꿀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