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디펜더 끄기 쉽게 알려드립니다

윈도우 디펜더 끄는 방법

 

윈도우 디펜더가 자동으로 프로그램을 차단하거나, 성능 저하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백신 프로그램을 따로 사용하는 경우라면 윈도우 디펜더를 끄는 것이 더 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윈도우 디펜더 끄기를 안전하고 정확하게 수행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드리겠습니다.


목차

  1. 윈도우 디펜더란 무엇인가요?
  2. 윈도우 디펜더를 꺼야 하는 경우
  3. 설정에서 끄는 방법
  4. 그룹 정책으로 끄기 (Windows Pro)
  5. 레지스트리로 완전히 끄기
  6. 끄기 후 주의사항
  7. 자주 묻는 질문

1. 윈도우 디펜더란 무엇인가요?

윈도우 디펜더(Microsoft Defender)는 윈도우에 기본 내장된 무료 백신 프로그램입니다. 실시간 감시, 클라우드 탐지, 자동 검사 기능을 통해 바이러스, 스파이웨어, 랜섬웨어 등을 차단합니다.

하지만 게임, 코딩, 영상 편집 등 고성능 작업 시 시스템 자원을 과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 설정에 디펜더 설정


2. 윈도우 디펜더를 꺼야 하는 경우

  • 외부 백신 프로그램 사용 중일 때
  • 디펜더가 특정 프로그램을 반복 차단할 때
  • 성능 저하 문제가 발생할 때
  • 최적화를 위해 실시간 감시를 끄고 싶을 때

주의: 디펜더를 끄면 보안에 취약할 수 있으므로 외부 백신을 반드시 설치하세요.


3. 설정에서 끄는 방법 (일시적 비활성화)

  1. [시작] → [설정] 클릭
  2. [업데이트 및 보안] → [Windows 보안]
  3. [바이러스 및 위협 방지] → [설정 관리]
  4. ‘실시간 보호’ 항목을

 

이 방법은 재부팅 후 다시 켜지므로 완전 비활성화는 아닙니다.

 

윈도우 디펜더 설정관리
윈도우 디펜더 설정관리
실시간 보호 끄기
실시간 보호 끄기


4. 그룹 정책으로 끄기 (Windows Pro 이상)

  1. Win + Rgpedit.msc 입력
  2. 컴퓨터 구성 → 관리 템플릿 → Windows 구성 요소 → Microsoft Defender 바이러스 백신
  3. “Microsoft Defender 바이러스 백신 끄기” 더블 클릭
  4. “사용”으로 설정 → 적용 → 확인

이후 디펜더는 완전히 비활성화됩니다.

그룹 정책에서 디펜더 끄기 설정
그룹 정책에서 디펜더 끄는 방법


5. 레지스트리로 완전히 끄기 (모든 윈도우 버전 가능)

주의: 레지스트리 수정 전 반드시 백업하세요.

  1. Win + Rregedit 입력
  2. 경로 이동: HKEY_LOCAL_MACHINE -> SOFTWARE -> Policies -> Microsoft -> Windows Defender
  3. 우측 빈 공간 → 마우스 우클릭 → 새로 만들기 → DWORD(32비트) 값
  4. 이름:  DisableAntiSpyware,   값:  1
  5. PC 재부팅

6. 디펜더 끈 후 주의사항

  • 외부 백신 설치 필수
  • 정기 수동 검사 권장
  • 의심 사이트 접근 주의

7. 자주 묻는 질문 (FAQ)

Q1. 디펜더를 껐는데 다시 켜집니다.

A1. 설정에서 끄는 방식은 일시적입니다. 그룹 정책 또는 레지스트리로 비활성화하세요.

 

 

Q2. 외부 백신을 설치하면 디펜더가 자동으로 꺼지나요?

A2. 대부분 자동으로 꺼지지만, 수동 확인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Q3. 보안 경고 메시지가 계속 나와요.

A3. 보안 센터 알림을 끄거나 외부 백신을 기본 설정으로 지정해야 합니다.

 


윈도우 디펜더 끄기, 윈도우 디펜더 비활성화, 윈도우 백신 끄는 법, Defender 끄기, Windows Defender 끄기, 윈도우 실시간 보호 끄기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로 의견을 남겨주세요. 더 많은 윈도우 팁도 계속해서 업데이트됩니다.